헤카 (이집트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마법을 의인화한 신이다. 이름은 이집트 단어 "마법"과 동일하며, 고왕국 시대에는 신들이 소유한 초자연적 에너지로 묘사되었다. 이후 창조신 아툼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여겨졌으며, 때로는 창조신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헤카는 태양의 배 그림의 일부로 묘사되거나, 오시리스를 보호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파라오의 즉위를 선포하는 역할을 했다. 에스나에서는 크눔과 여러 여신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이집트 학자들은 헤카 마법이 언어와 말의 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법 - 마법사
마법사는 민담, 동화, 판타지 등에서 마법을 사용하는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선악의 역할과 다양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며, 현실에서는 마술사나 역사 속 인물, 동아시아 신화 속 인물들과 연관되기도 한다. - 마법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이집트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이집트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헤카 (이집트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체계 | 이집트 신화 |
다른 이름 | 헤카우 |
로마자 표기 | Heka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크눔 |
어머니 | 네이트 메헤트-웨레트 멘히트 네베투위 |
숭배 | |
숭배 중심지 | 에스나 |
2. 명칭
헤카(Heka)라는 이름은 이집트 단어 ''ḥkꜣ(w)'' ("마법")와 동일하다. 이 상형 문자는 생명력에 대한 고대 이집트 개념인 ''카''(''kꜣ'')라는 단어의 기호를 포함한다.[5] 고대 이집트에서 이름에 부여된 중요성 때문에 헤카는 종종 개인 이름에 포함되었다. 몇 가지 예로는 헤카위, 헤카프, 또는 단순히 헤카가 있다. 여신 이시스는 또한 때때로 헤카와 관련되어 웨레트 헤카우, 즉 '위대한 마법의 여주인'이라고 불린다.[5]
고왕국 시대 피라미드 텍스트에는 ''헤카''가 신들이 소유한 초자연적인 에너지로 묘사되어 있다. "식인 파라오"는 이 마법의 힘을 얻기 위해 다른 신들을 먹어야 했다. 결국 헤카는 신으로 격상되었고, 그에게 헌신하는 숭배가 발전했다.
3. 신앙
3. 1. 창조 신화
관 텍스트 시대에 이르러 헤카는 창조신 아툼에 의해 태초에 창조되었다고 한다. 때로는 창조신으로 의인화되기도 하며, 남성이나 아이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어떤 이미지에서는 뱀 두 마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헤카는 시아 및 후와 함께 창조신의 세 가지 측면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3. 2. 일반 신화
헤카는 이후 신성한 태양의 배의 그림의 일부로 묘사되었으며, 두아트에서 오시리스를 보호하는 존재로 묘사되어 악어를 눈멀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그 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헤카의 역할은 이시스의 아들로서 파라오의 즉위를 선포하고 그를 자신의 품에 안는 것이었다.[7][8]
헤카는 또한 상 이집트의 테바이드에 있는 제3 노메의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및 로마 시대 수도인 에스나에서 신성한 삼위일체의 일부로 등장하며, 그는 숫양 머리를 한 크눔과 일련의 여신들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번갈아 가며 네베투'우(하토르의 한 형태), 사자 머리 멘히트, 암소 여신 메헤트-웨레트로 불리다가, 결국 전쟁과 어머니 여신인 네이트로 정착되었다.[9]
"위대한 마법을 가진 자"를 의미하는 웨레테카우는 때때로 헤카의 힘과 연결되기도 한다.
이집트 학자 오그덴 괴렛(1994)은[10] ''사자의 서''에서 마법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텍스트는 '마법'에 해당하는 다양한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집트인들은 마법을 정당한 믿음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괴렛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헤카'' 마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엇보다도 언어와 말의 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집트 마법의 영역에서, 행동은 반드시 말보다 더 크게 말하지 않았는데, 그것들은 종종 동일한 것이었다. 생각, 행위, 이미지, 그리고 힘은 이론적으로 ''헤카''의 개념에서 통합된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rojet Rosette - Dictionary detail
http://projetrosette[...]
2017-09-21
[2]
웹사이트
Coptic Dictionary Online
https://corpling.uis[...]
2017-09-21
[3]
웹사이트
Heka, god of Egypt
http://www.landofpyr[...]
2018-01-31
[4]
서적
Ancient Magic and Ritual Power
https://books.google[...]
BRILL
2015-08-24
[5]
서적
Ancient Egyptian magic a hands-on guide
Thames & Hudson
[6]
서적
The Egyptian myths A guide to the ancient gods and legends
Thames and Hudson
[7]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6-06-22
[8]
서적
Gods and Men in Egypt: 3000 BCE to 395 C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9]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3-05
[10]
서적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The Book of Going Forth by Day
Chronicl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